목차

LIFE & CULTURE

[ISSUE] 돈이 되는 핫이슈 키워드

 

어쩌면 돈이 되는?


핫이슈 키워드

 

2025년 첨단 기술과 세계시장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제는 공구인도 최신 정보와 트렌드를 놓치지 않아야 한다.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소비자들과 대화를 나누고 비즈니스를 하는데 핫이슈 키워드는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다. 최근 주목받는 핫이슈 키워드를 알아보자. 

 

 

 

양자 컴퓨터

 

양자 컴퓨터 이야기

 

양자 컴퓨터는 양자 역학의 원리를 이용해 정보를 처리하는 컴퓨터다. 전통적인 컴퓨터와 다르게 양자 컴퓨터는 큐비트(quantum bit)를 사용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한다. 전통적인 비트는 0 또는 1의 값을 가질 수 있지만, 큐비트는 이 두 상태의 중첩(superposition)을 가질 수 있다. 양자 알고리즘은 여러 경로를 통해 결과를 발견하고 특정 경로의 확률을 강화하거나 약화시켜 최종 결과를 최적화한다. 지난 24년 12월 구글은 차세대 양자 컴퓨터 칩 ‘윌로우(Willow)’를 선보였다. 이 칩은 슈퍼컴퓨터가 10조 7,000억 년 걸리는 계산을 5분 이내에 수행한다. 이처럼 양자 컴퓨터 기술은 인공지능, 의료, 에너지, 보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 예상된다.

 

 

 

딥시크(DeepSeek)

 

저비용 AI ‘딥시크’ 이야기

 

딥시크(DeepSeek)는 중국의 헤지펀드 회사 환팡퀀트(幻方量化) 소속 오픈 소스 대형 언어 모델을 개발하는 중국의 인공지능 연구 기업이자 회사의 제품명이다. 딥시크가 세계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지난 24년 12월 26일 공개된 모델 ‘V3’부터다. 저예산으로 개발된 V3가 기존 인공지능 시장의 절대강자였던 챗GPT 모델들과 유사한 성능을 보였기 때문. 딥시크는 V3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우리 돈 약 80억 원을 들였다. 이것은 앞서 출시 된 인공지능 개발비용의 10분의 1에 그치는 수준. 또 해당 모델에는 미국 정부의 수출 규제를 피해 저성능 반도체 칩 ‘H800’을 사용 했음에도 V3가 최고 사양 칩을 사용한 챗GPT의 모델과 비슷한 성능을 보여 충격을 주었다.

 

 

 

밈 코인

 

밈코인(Meme Coin) 뜻

 

밈 코인(meme coin)은 인터넷 밈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영감을 받은 암호화폐 또는 디지털 자산이다. 종종 농담이나 사회적 실험으로 시작되지만 바이럴 성격과 커뮤니티의 지원으로 주목 받으면서 시장 가치가 상당해질 수 있다.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는 확립된 사용 사례와 기본 가치 제안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밈 토큰은 본질적인 가치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밈 코인으로는 도지코인(DOGE)이 있다. 지난 25년 1월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3일 전, 밈코인 ‘$TRUMP’를 발표해 큰 화제를 모았다. 

 

 

 

우주선 스타십(Starship)

 

 

스타십(Starship)은 스페이스X에서 개발 중인 다목적 초대형 우주발사체다. 스페이스X의 궁극적인 목표는 인류를 화성에 보내는 것이다. 스타십은 이를 위한 핵심 수단으로 개발되고 있다. 스타십의 2단 우주선은 길이 52m, 지름 9m로 내부에 사람 100명과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현재까지 인류가 발사한 우주선 가운데 가장 크고 강력한 우주선으로 역대 최장 로켓인 슈퍼헤비 부스터까지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총길이는 약 123m에 달한다. 스페이스X는 지난 3월 6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보카치카 스타베이스 기지에서 8차 시험비행을 진행했다. 

 

 

 

휴머노이드 로봇

 

‘휴머노이드 로봇’ 이야기
 

세계적인 로봇 기업들이 ‘휴머노이드 로봇’들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다. 미국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CEO 젠슨 황은 올해 휴머노이드를 포함한 로봇이 변화의 중심에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휴머노이드는 인공지능이 탑재된 사람 형태의 로봇을 뜻한다. 사람처럼 두 팔과 두 다리가 있고, 얼굴을 통해 시각과 청각 등 여러 데이터를 수집하는 로봇이다. 대표적인 휴머노이드 로봇은 테슬라의 ‘옵티머스’다. 옵티머스는 약 173㎝의 키에 63㎏의 몸무게를 가진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시속 10㎞로 움직이며 20㎏의 물건을 들어올릴 수 있다. 인간과 비슷한 체격과 형태를 갖춰 실제 사람이 활동하는 다양한 환경에서 업무에 투입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건기식(건강기능식품)

 

 

지난 2월 24일 다이소가 일부 제약사와 손잡고 건강기능식품과 영양제 판매를 시작했다. 전국 200개 매장에서 대웅제약, 종근당 등 몇몇의 제약회사 건기식과 영양제 판매를 시작한 것. 입점한 건기식 종류로는 루테인, 오메가3, 비타민D, 철분제, 아연, 유산균 등이 있다. 다이소 외에도 편의점, 올리브영에서도 건강기능식품의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이소는 소비자의 반응을 살핀 뒤 판매 매장을 전국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다이소의 건강기능식품은 기존 건강기능식품 대비 훨씬 낮은 가격과 뛰어난 접근성 등을 강점으로 내세울 것으로 보인다.

 

 

 

위고비(Wegovy)

 

 

위고비(Wegovy)는 덴마크 제약사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에서 개발한 비만 치료제로 2021년 6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이후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여러 나라에서 판매되기 시작했다. 본래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되었으나 비만 환자 대상 체중 관리용 보조제로 사용되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한국에서는 지난 24년 10월 15일 출시되었으며 폭발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월 처방 비용은 40~60만 원으로 고가지만 주 1회 주사를 맞으면 되는 편리함과 높은 비만 치료 효과로 소비자 선호도가 높다. 최근 의료 현장에서는 비만 치료의 필요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환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가격 인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리 _ 한상훈